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한국 기업부채 경고음…빚 증가 속도 '세계 2위'

2023-11-20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한국 기업부채 경고음…빚 증가 속도 '세계 2위'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국가 경제 규모를 고려했을 때 우리나라 기업의 부채 비율이 세계 3위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. 고금리가 장기화되고 있는 지금 부담이 클 텐데 왜 이렇게 대출이 증가한 건가요? 기업 빚이 늘어나는 속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인 것으로 확인됐는데 어떻게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연체율도 빠르게 높아지고 있고 부도 비율이 세계 2위 수준인 부분도 우려됩니다.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비롯한 적지 않은 기업들이 한계에 봉착했다는 뜻일까요?<br /><br /> 대출 만기와 상환 압박을 고려하면 사실상 내년 상반기가 기업들에 가장 큰 고비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도 나오는데 상환 리스크가 금융사를 넘어 금융시스템 전체에 영향을 주는 건 아닐까요? 한국 경제에는 어떤 위험 요소가 될까요?<br /><br /> 김주현 금융위원장, 이복현 금융감독원장과 5대 금융지주 회장들이 오늘 한자리에 모일 예정인데요. 어떤 논의가 필요하다 보십니까?<br /><br /> 꺾이지 않는 민간 대출도 우리 경제의 불안 요소로 지목되고 있는데요. 오는 30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금리 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?<br /><br /> 다른 이슈도 살펴보겠습니다. 올해 서울 지역의 청약 경쟁률이 지난해의 6배 수준으로 치열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다만 세 자릿수의 경쟁률을 기록한 경우는 소수고, 한 자릿수에 그친 단지도 있었는데 양극화 배경은 뭐라고 보세요?<br /><br /> 내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20년 만에 역대 최저 수준으로 급감하면서 청약 시장이 지금보다 더 과열될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자 정부가 주택 공급 활성화 방안 후속 조치로 신규 택지 후보지를 선정했는데 공급부족에 대한 우려가 해소될 수 있을까요? 실효성은 어떻게 예상하십니까?<br /><br /> 이런 가운데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 분양가에서 땅값이 차지하는 비중이 올해 들어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왜 자꾸 땅값이 오르는 건가요? 땅값이 오른다는 건 결국 분양가도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뜻으로 보이는데 상승세가 얼마나 더 가팔라지게 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